반응형 effects의 생명주기

effects는 컴포넌트와 다른 생명주기를 가집니다. 컴포넌트는 마운트, 업데이트 또는 마운트 해제할 수 있습니다. effect는 동기화를 시작하고 나중에 동기화를 중지하는 두 가지 작업만 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props와 state에 의존하는 effect의 경우 여러 번 발생할 수 있습니다. React는 effect의 의존성을 올바르게 지정했는지 확인하는 린터 규칙을 제공합니다. 이렇게 하면 effect가 최신 props와 state에 동기화됩니다.

학습 내용

  • effect의 생명주기가 컴포넌트의 생명주기와 다른 점
  • 각 effect를 개별적으로 생각하는 방법
  • effect를 다시 동기화해야 하는 시기와 그 이유
  • effect의 의존성이 결정되는 방법
  • 값이 유동적이라는 것의 의미
  • 빈 의존성 배열이 의미하는 것
  • React가 린터로 의존성이 올바른지 확인하는 방법
  • 린터에 동의하지 않을 때 해야 할 일

effect의 생명주기

모든 React 컴포넌트는 동일한 생명주기를 거칩니다.

  • 컴포넌트는 화면에 추가될 때 마운트 됩니다.
  • 컴포넌트는 일반적으로 상호작용에 대한 응답으로 새로운 props나 state를 수신하면 업데이트 됩니다.
  •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제거되면 마운트가 해제 됩니다.

컴포넌트에 대해 생각하기에는 좋지만 effects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컴포넌트의 생명주기와 독립적으로 각 effect를 생각해 보세요. effect는 외부 시스템을 현재 props 및 state와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코드가 변경되면 동기화를 더 자주 또는 덜 자주 수행해야 합니다.

이 점을 설명하기 위해 컴포넌트를 채팅 서버에 연결하는 effect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function ChatRoom({ roomId })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roomId]);
// ...
}

effect의 본문에는 동기화 시작 방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

effect에서 반환되는 cleanup 함수는 동기화를 중지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

직관적으로 React는 컴포넌트가 마운트될 때 동기화를 시작하고 컴포넌트가 마운트 해제될 때 동기화를 중지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이야기의 끝이 아닙니다! 때로는 컴포넌트가 마운트된 상태에서 동기화를 여러 번 시작하고 중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동작이 필요한 이유발생 시기, 그리고 이러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을 살펴보겠습니다.

중요합니다!

일부 effects는 cleanup 함수를 전혀 반환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함수를 반환하고 싶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React는 빈 cleanup 함수를 반환한 것처럼 동작합니다.

동기화가 두 번 이상 수행되어야 하는 이유

ChatRoom 컴포넌트가 사용자가 드롭다운에서 선택한 roomId prop을 받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처음에 사용자가 "general" 대화방을 roomId로 선택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앱에 "general" 채팅방이 표시됩니다.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function ChatRoom({ roomId /* "general" */ }) {
// ...
return <h1>Welcome to the {roomId} room!</h1>;
}

UI가 표시되면 React가 effect를 실행하여 동기화를 시작합니다. "general" 방에 연결됩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 "general" */ })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 "general" 방에 연결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general" 방에서 연결 해제
};
}, [roomId]);
// ...

지금까지는 괜찮습니다.

나중에 사용자가 드롭다운에서 다른 방(예: "travel")을 선택합니다. 먼저 React가 UI를 업데이트합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 "travel" */ }) {
// ...
return <h1>Welcome to the {roomId} room!</h1>;
}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생각해 보세요. 사용자는 UI에서 "travel"이 선택된 대화방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번에 실행된 effect는 여전히 "general" 대화방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roomId prop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그때 effect가 수행한 작업("general" 방에 연결)이 더 이상 UI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이 시점에서 React가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하기를 원합니다.

  1. 이전 roomId와의 동기화를 중지합니다("general" 방에서 연결 끊기).
  2. 새 roomId와 동기화 시작("travel" 방에 연결)

다행히도, 여러분은 이미 이 두 가지를 수행하는 방법을 React에 가르쳤습니다! effect의 본문에는 동기화를 시작하는 방법이 명시되어 있고, cleanup 함수에는 동기화를 중지하는 방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제 React가 해야 할 일은 올바른 순서로 올바른 props와 state로 호출하기만 하면 됩니다. 정확히 어떻게 일어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React가 effect를 재동기화하는 방법

ChatRoom 컴포넌트가 roomId prop에 새로운 값을 받았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이전에는 "general"이었지만 이제는 "travel"입니다. 다른 방에 다시 연결하려면 React가 effect를 다시 동기화해야 합니다.

동기화를 중지하기 위해 React는 "general" 방에 연결한 후 effect가 반환한 cleanup 함수를 호출합니다. roomId"general"이었기 때문에, cleanup 함수는 "general" 방에서 연결을 끊습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 "general" */ })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 "general" 방에 연결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general" 방에서 연결 해제
};
// ...

그러면 React는 이 렌더링 중에 여러분이 제공한 effect를 실행합니다. 이번에는 roomId"travel"이므로 "travel" 채팅방과 동기화되기 시작합니다(결국 cleanup 함수도 호출될 때까지).

function ChatRoom({ roomId /* "travel" */ })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 "travel" 방에 연결
connection.connect();
// ...

덕분에 이제 사용자가 UI에서 선택한 방과 동일한 방에 연결됩니다. 재앙을 피했습니다!

컴포넌트가 다른 roomId로 다시 렌더링할 때마다 effect가 다시 동기화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roomId"travel"에서 "music"으로 변경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React는 다시 cleanup 함수를 호출하여 effect 동기화를 중지합니다("travel" 방에서 연결을 끊습니다). 그런 다음 새 roomId prop로 본문을 실행하여 동기화를 다시 시작합니다("music" 방에 연결).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면 ChatRoom이 마운트를 해제합니다. 이제 연결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React는 마지막으로 effect 동기화를 중지하고 "music" 채팅방에서 연결을 끊습니다.

effect의 관점에서 생각하기

ChatRoom 컴포넌트의 관점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1. roomId"general"으로 설정되어 마운트된 ChatRoom
  2. roomId"travel"으로 설정되어 업데이트된 ChatRoom
  3. roomId"music"으로 설정되어 업데이트된 ChatRoom
  4. 마운트 해제된 ChatRoom

컴포넌트의 생명주기에서 이러한 각 시점에서 effect는 다른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1. effect가 "general" 대화방에 연결됨
  2. "general" 방에서 연결이 끊어지고 "travel" 방에 연결된 effect
  3. "travel" 방에서 연결이 끊어지고 "music" 방에 연결된 effect
  4. "music" 방에서 연결이 끊어진 effect

이제 effect 자체의 관점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생각해 봅시다.

useEffect(() => {
// roomId로 지정된 방에 연결된 effect...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 ...연결이 끊어질 때까지
connection.disconnect();
};
}, [roomId]);

이 코드의 구조는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겹치지 않는 시간의 연속으로 보는 데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1. "general" 방에 연결된 effect (연결이 끊어질 때까지)
  2. "travel" 방에 연결된 effect (연결이 끊어질 때까지)
  3. "music" 방에 연결된 effect (연결이 끊어질 때까지)

이전에는 컴포넌트의 관점에서 생각했습니다. 컴포넌트의 관점에서 보면 effect를 ‘렌더링 후’ 또는 ‘마운트 해제 전’과 같은 특정 시점에 실행되는 ‘콜백’ 또는 ‘생명주기 이벤트’로 생각하기 쉬웠습니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매우 빠르게 복잡해지므로 피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대신 항상 한 번에 하나의 시작/중지 사이클에만 집중하세요. 컴포넌트를 마운트, 업데이트 또는 마운트 해제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동기화를 시작하는 방법과 중지하는 방법만 설명하면 됩니다. 이 작업을 잘 수행하면 필요한 횟수만큼 effect를 시작하고 중지할 수 있는 탄력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JSX를 생성하는 렌더링 로직을 작성할 때 컴포넌트가 마운트되는지 업데이트되는지 생각하지 않는 방법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화면에 무엇이 표시되어야 하는지 설명하면 나머지는 React가 알아서 처리합니다.

React가 effect를 다시 동기화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다음은 여러분이 플레이할 수 있는 라이브 예시입니다. “채팅 열기”를 눌러 ChatRoom 컴포넌트를 마운트합니다.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createConnection } from './chat.js';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function ChatRoom({ roomId })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connection.disconnect();
  }, [roomId]);
  return <h1>Welcome to the {roomId} room!</h1>;
}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roomId, setRoomId] = useState('general');
  const [show, setShow] = useState(false);
  return (
    <>
      <label>
        Choose the chat room:{' '}
        <select
          value={roomId}
          onChange={e => setRoomId(e.target.value)}
        >
          <option value="general">general</option>
          <option value="travel">travel</option>
          <option value="music">music</option>
        </select>
      </label>
      <button onClick={() => setShow(!show)}>
        {show ? 'Close chat' : 'Open chat'}
      </button>
      {show && <hr />}
      {show && <ChatRoom roomId={roomId} />}
    </>
  );
}

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될 때 3개의 로그가 표시됩니다.

  1. ✅ https://localhost:1234... 에서 "general" 방에 연결 중입니다. (개발 전용)
  2. ❌ https://localhost:1234에서 "일반" 방에서 연결 해제되었습니다. (개발 전용)
  3. ✅ https://localhost:1234... 에서 "general" 방에 연결 중입니다.

처음 두 개의 로그는 개발 전용입니다. 개발 시 React는 항상 각 컴포넌트를 한 번씩 다시 마운트합니다.

React는 개발 단계에서 즉시 강제로 동기화를 수행하여 effect가 다시 동기화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는 도어록이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문을 열었다가 다시 닫는 것을 떠올리게 할 수 있습니다. React는 개발 과정에서 effect를 한 번 더 시작하고 중지하여 정리를 잘 구현했는지 확인합니다.

실제로 effect가 다시 동기화되는 주된 이유는 effect가 사용하는 일부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입니다. 위의 sandbox에서 선택한 채팅방을 변경합니다. roomId가 변경되면 effect가 다시 동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시 동기화해야 하는 더 특이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채팅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위의 sandbox에서 serverUrl을 편집해 보세요. 코드 편집에 대한 응답으로 effect가 어떻게 다시 동기화되는지 주목하세요. 앞으로 React는 재동기화에 의존하는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React가 effect를 다시 동기화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방법

roomId가 변경된 후 effect를 다시 동기화해야 한다는 것을 어떻게 React가 알았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종속성 목록roomId를 포함함으로써 해당 코드가 roomId에 종속되어 있다고 React에 알렸기 때문입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 { // roomId prop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 이 effect는 roomId를 읽습니다.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roomId]); // 따라서 React에 이 effect가 roomId에 "의존"한다고 알려줍니다.
// ...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roomIdprop이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2. effect가 roomId를 읽는다는 것을 알았습니다.(따라서 로직이 나중에 변경될 수 있는 값에 따라 달라집니다.)
  3. 그렇기 때문에 roomId를 effect의 종속성으로 지정한 것입니다 (roomId 가 변경되면 다시 동기화되도록).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 될 때마다 React는 전달한 의존성 배열을 살펴봅니다. 배열의 값 중 하나라도 이전 렌더링 중에 전달한 동일한 지점의 값과 다르면 React는 effect를 다시 동기화합니다.

예를 들어, 초기 렌더링 중에 ["general"]을 전달했는데 나중에 다음 렌더링 중에 ["travel"]을 전달한 경우, React는 "general""travel"을 비교합니다. 이 값들은 (Object.is로 비교) 다른 값이기 때문에 React는 effect를 다시 동기화합니다. 반면에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 되지만 roomId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effect는 동일한 방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각 effect는 별도의 동기화 프로세스를 나타냅니다.

이 로직은 이미 작성한 effect와 동시에 실행되어야 하므로 관련 없는 로직을 effect에 추가하지 마세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의실을 방문할 때 분석 이벤트를 전송하고 싶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미 roomId에 의존하는 effect가 있으므로 거기에 분석 호출을 추가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 {
useEffect(() => {
logVisit(roomId);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roomId]);
// ...
}

하지만 나중에 이 effect에 연결을 다시 설정해야 하는 다른 종속성을 추가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effect가 다시 동기화되면 의도하지 않은 동일한 방에 대해 logVisit(roomId)도 호출합니다. 방문을 기록하는 것은 연결과는 별개의 프로세스입니다. 두 개의 개별 effect로 작성하세요.

function ChatRoom({ roomId }) {
useEffect(() => {
logVisit(roomId);
}, [roomId]);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 ...
}, [roomId]);
// ...
}

코드의 각 effect는 별도의 독립적인 동기화 프로세스를 나타내야 합니다.

위의 예시에서는 한 effect를 삭제해도 다른 effect의 로직이 깨지지 않습니다. 이는 서로 다른 것을 동기화하므로 분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일관된 로직을 별도의 effect로 분리하면 코드가 “더 깔끔해” 보일 수 있지만 유지 보수가 더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코드가 더 깔끔해 보이는지 여부가 아니라 프로세스가 동일하거나 분리되어 있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 값에 “반응”하는 effect

effect에서 두 개의 변수(serverUrlroomId)를 읽지만 종속성으로 roomId만 지정했습니다.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function ChatRoom({ roomId })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roomId]);
// ...
}

serverUrl이 종속성이 될 필요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는 재 렌더링으로 인해 serverUrl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컴포넌트가 몇 번이나 다시 렌더링하든, 그 이유와 상관없이 항상 동일합니다. serverUrl은 절대 변경되지 않으므로 종속성으로 지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결국 종속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때만 무언가를 수행합니다!

반면에 roomId는 다시 렌더링할 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 내부에서 선언된 Props, state 및 기타값은 렌더링 중에 계산되고 React 데이터 흐름에 참여하기 때문에 반응형 입니다.

serverUrl이 state 변수라면 반응형일 것입니다. 반응형 값은 종속성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 { // Props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합니다.
const [serverUrl, setServerUrl] = useState('https://localhost:1234'); // State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합니다.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 effect는 Props와 state를 읽습니다.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roomId, serverUrl]); // 따라서 이 effect는 props와 state에 "의존"한다고 React에 알려줍니다.
// ...
}

serverUrl을 종속성으로 포함하면 effect가 변경된 후 다시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 sandbox에서 선택한 대화방을 변경하거나 서버 URL을 수정해 보세요.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createConnection } from './chat.js';

function ChatRoom({ roomId }) {
  const [serverUrl, setServerUrl] = useState('https://localhost:1234');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connection.disconnect();
  }, [roomId, serverUrl]);

  return (
    <>
      <label>
        Server URL:{' '}
        <input
          value={serverUrl}
          onChange={e => setServerUrl(e.target.value)}
        />
      </label>
      <h1>Welcome to the {roomId} room!</h1>
    </>
  );
}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roomId, setRoomId] = useState('general');
  return (
    <>
      <label>
        Choose the chat room:{' '}
        <select
          value={roomId}
          onChange={e => setRoomId(e.target.value)}
        >
          <option value="general">general</option>
          <option value="travel">travel</option>
          <option value="music">music</option>
        </select>
      </label>
      <hr />
      <ChatRoom roomId={roomId} />
    </>
  );
}

roomId 또는 serverUrl과 같은 반응형 값을 변경할 때마다 effect가 채팅 서버에 다시 연결합니다.

빈 종속성이 있는 effect의 의미

serverUrlroomId를 모두 컴포넌트 외부로 이동하면 어떻게 되나요?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const roomId = 'general';

function ChatRoom()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 // ✅ 선언된 모든 종속성
// ...
}

이제 effect의 코드는 어떤 반응형 값도 사용하지 않으므로 종속성이 비어 있을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의 관점에서 생각해 보면, 빈 [] 의존성 배열은 이 effect가 컴포넌트가 마운트될 때만 채팅방에 연결되고 컴포넌트가 마운트 해제될 때만 연결이 끊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eact는 로직을 스트레스 테스트하기 위해 개발 단계에서 한 번 더 동기화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createConnection } from './chat.js';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const roomId = 'general';

function ChatRoom()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connection.disconnect();
  }, []);
  return <h1>Welcome to the {roomId} room!</h1>;
}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show, setShow] = useState(false);
  return (
    <>
      <button onClick={() => setShow(!show)}>
        {show ? 'Close chat' : 'Open chat'}
      </button>
      {show && <hr />}
      {show && <ChatRoom />}
    </>
  );
}

하지만 effect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마운트 및 마운트 해제에 대해 전혀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effect가 동기화를 시작하고 중지하는 작업을 지정한 것입니다. 현재는 반응형 종속성이 없습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roomId 또는 serverUrl을 변경하려는 경우(그리고 반응형이 되는 경우) effect의 코드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종속성에 추가하기만 하면 됩니다.

컴포넌트 본문에서 선언된 모든 변수는 반응형입니다.

props와 state만 반응형 값인 것은 아닙니다. 이들로부터 계산하는 값도 반응형입니다. props나 state가 변경되면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 되고 그로부터 계산된 값도 변경됩니다. 이 때문에 effect에서 사용하는 컴포넌트 본문의 모든 변수는 effect 종속성 목록에 있어야 합니다.

사용자가 드롭다운에서 채팅 서버를 선택할 수 있지만 설정에서 기본 서버를 구성할 수도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미 settings state를 context에 넣어서 해당 context에서 settings를 읽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제 props에서 선택한 서버와 기본 서버를 기준으로 serverUrl을 계산합니다.

function ChatRoom({ roomId, selectedServerUrl }) { // roomId는 반응형입니다.
const settings = useContext(SettingsContext); // settings는 반응형입니다.
const serverUrl = selectedServerUrl ?? settings.defaultServerUrl; // serverUrl는 반응형입니다.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 effect는 roomId 와 serverUrl를 읽습니다.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roomId, serverUrl]); // 따라서 둘 중 하나가 변경되면 다시 동기화해야 합니다!
// ...
}

이 예시에서 serverUrl은 prop이나 state 변수가 아닙니다. 렌더링 중에 계산하는 일반 변수입니다. 하지만 렌더링 중에 계산되므로 재 렌더링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반응형인 이유입니다.

컴포넌트 내부의 모든 값(컴포넌트 본문의 props, state, 변수 포함)은 반응형입니다. 모든 반응형 값은 다시 렌더링할 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반응형 값을 effect의 종속 요소로 포함해야 합니다.

즉, effect는 컴포넌트 본문의 모든 값에 “반응”합니다.

자세히 살펴보기

전역 또는 변경할 수 있는 값이 종속성이 될 수 있나요?

변경할 수 있는 값(전역 변수 포함)은 반응하지 않습니다.

location.pathname과 같은 변경 가능한 값은 종속성이 될 수 없습니다. 이 값은 변경할 수 있으므로 React 렌더링 데이터 흐름 외부에서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을 변경해도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 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종속성에서 지정했더라도 React는 effect가 변경될 때 effect를 다시 동기화할지 알 수 없습니다. 또한 렌더링 도중(의존성을 계산할 때) 변경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읽는 것은 렌더링의 순수성을 깨뜨리기 때문에 React의 규칙을 위반합니다. 대신, useSyncExternalStore를 사용하여 외부 변경할 수 있는 값을 읽고 구독해야 합니다.

ref.current와 같이 변경 가능한 값이나 이 값에서 읽은 것 역시 종속성이 될 수 없습니다. useRef가 반환하는 ref 객체 자체는 종속성이 될 수 있지만 current prop는 의도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재 렌더링을 트리거하지 않고도 무언가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변경해도 다시 렌더링이 트리거되지 않기 때문에 반응형 값이 아니며, React는 이 값이 변경될 때 effect를 다시 실행할지 알지 못합니다.

이 페이지에서 아래에서 배우게 되겠지만, 린터는 이러한 문제를 자동으로 확인합니다.

React는 모든 반응형 값을 종속성으로 지정했는지 확인합니다.

린터가 React에 대해 구성된 경우, effect의 코드에서 사용되는 모든 반응형 값이 종속성으로 선언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roomIdserverUrl이 모두 반응형이기 때문에 이것은 린트 오류입니다.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createConnection } from './chat.js';

function ChatRoom({ roomId }) { // roomId는 반응형입니다.
  const [serverUrl, setServerUrl] = useState('https://localhost:1234'); // serverUrl는 반응형입니다.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connection.disconnect();
  }, []); // <-- 여기 무언가 잘못되었습니다!

  return (
    <>
      <label>
        Server URL:{' '}
        <input
          value={serverUrl}
          onChange={e => setServerUrl(e.target.value)}
        />
      </label>
      <h1>Welcome to the {roomId} room!</h1>
    </>
  );
}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roomId, setRoomId] = useState('general');
  return (
    <>
      <label>
        Choose the chat room:{' '}
        <select
          value={roomId}
          onChange={e => setRoomId(e.target.value)}
        >
          <option value="general">general</option>
          <option value="travel">travel</option>
          <option value="music">music</option>
        </select>
      </label>
      <hr />
      <ChatRoom roomId={roomId} />
    </>
  );
}

이것은 React 오류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코드의 버그를 지적하는 것입니다. roomIdserverUrl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변경 시 effect를 다시 동기화하는 것을 잊어버리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UI에서 다른 값을 선택한 후에도 초기 roomIdserverUrl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버그를 수정하려면 린터의 제안에 따라 effect의 종속 요소로 roomIdserverUrl을 지정하세요.

function ChatRoom({ roomId }) { // roomId는 반응형입니다.
const [serverUrl, setServerUrl] = useState('https://localhost:1234'); // serverUrl는 반응형입니다.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serverUrl, roomId]); // ✅ 선언된 모든 종속성
// ...
}

위의 sandbox에서 이 수정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린터 오류가 사라지고 필요할 때 채팅이 다시 연결되는지 확인합니다.

중요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값이 선언되더라도 절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React가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useState에서 반환되는 set 함수useRef에서 반환되는 ref 객체는 안정적이며, 다시 렌더링해도 변경되지 않도록 보장됩니다. 안정된 값은 반응하지 않으므로 목록에서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값은 변경되지 않으므로 포함해도 상관없습니다.

다시 동기화하지 않으려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전 예시에서는 roomIdserverUrl을 종속성으로 나열하여 린트 오류를 수정했습니다.

그러나 대신 이러한 값이 반응형 값이 아니라는 것, 즉 재 렌더링의 결과로 변경될 수 없다는 것을 린터에 “증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erverUrlroomId가 렌더링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같은 값을 갖는다면 컴포넌트 외부로 옮길 수 있습니다. 이제 종속성이 될 필요가 없습니다.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 serverUrl는 반응형이 아닙니다.
const roomId = 'general'; // roomId는 반응형이 아닙니다.

function ChatRoom() {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 // ✅ 선언된 모든 종속성
// ...
}

effect 내부로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렌더링 중에 계산되지 않으므로 반응하지 않습니다.

function ChatRoom() {
useEffect(() => {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 serverUrl는 반응형이 아닙니다.
const roomId = 'general'; // roomId는 반응형이 아닙니다.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
connection.disconnect();
};
}, []); // ✅ 선언된 모든 종속성
// ...
}

effect는 반응형 코드 블록입니다. 내부에서 읽은 값이 변경되면 다시 동기화됩니다. 상호작용당 한 번만 실행되는 이벤트 핸들러와 달리 effect는 동기화가 필요할 때마다 실행됩니다.

종속성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종속성에는 effect에서 읽은 모든 반응형 값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린터가 이를 강제합니다. 때때로 이에 따라 무한 루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거나 effect가 너무 자주 다시 동기화될 수 있습니다. 린터를 억제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마세요! 대신 시도할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의하세요!

린터는 여러분의 친구이지만 그 힘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린터는 종속성이 잘못되었을 때만 알 수 있습니다. 각 사례를 해결하는 최선의 방법은 알지 못합니다. 만약 린터가 종속성을 제안하지만 이를 추가하면 루프가 발생한다고 해서 린터를 무시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해당 값이 반응적이지 않고 종속성이 될 필요가 없도록 effect 내부(또는 외부)의 코드를 변경해야 합니다.

기존 코드베이스가 있는 경우 이처럼 린터를 억제하는 effect가 있을 수 있습니다.

useEffect(() => {
// ...
// 🔴 이런 식으로 린트를 억누르지 마세요.
// eslint-ignore-next-line react-hooks/exhaustive-deps
}, []);

다음 페이지에서는 규칙을 위반하지 않고 이 코드를 수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언제나 고칠 가치가 있습니다!

요약

  • 컴포넌트는 마운트, 업데이트, 마운트 해제할 수 있습니다.
  • 각 effect는 주변 컴포넌트와 별도의 생명주기를 가집니다.
  • 각 effect는 시작 및 중지할 수 있는 별도의 동기화 프로세스를 설명합니다.
  • effect를 작성하고 읽을 때는 컴포넌트의 관점(마운트, 업데이트 또는 마운트 해제 방법)이 아닌 개별 effect의 관점(동기화 시작중지 방법)에서 생각하세요.
  • 컴포넌트 본문 내부에 선언된 값은 “반응형”입니다.
  • 반응형 값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effect를 다시 동기화해야 합니다.
  • 린터는 effect 내부에서 사용된 모든 반응형 값이 종속성으로 지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린터에 의해 플래그가 지정된 모든 오류는 합법적인 오류입니다. 규칙을 위반하지 않도록 코드를 수정할 방법은 항상 있습니다.

챌린지 1 of 5:
모든 키 입력 시 재연결 문제 수정

이 예시에서 ChatRoom 컴포넌트는 컴포넌트가 마운트될 때 채팅방에 연결되고, 마운트가 해제되면 연결이 끊어지며, 다른 채팅방을 선택하면 다시 연결됩니다. 이 동작은 올바른 것이므로 계속 작동하도록 해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하단의 메시지 상자 입력란에 입력할 때마다 ChatRoom 채팅에 다시 연결됩니다. (콘솔을 지우고 입력란에 입력하면 이 문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문제를 해결하세요.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createConnection } from './chat.js';

const serverUrl = 'https://localhost:1234';

function ChatRoom({ roomId }) {
  const [message, setMessage] = useState('');

  useEffect(() => {
    const connection = createConnection(serverUrl, roomId);
    connection.connect();
    return () => connection.disconnect();
  });

  return (
    <>
      <h1>Welcome to the {roomId} room!</h1>
      <input
        value={message}
        onChange={e => setMessage(e.target.value)}
      />
    </>
  );
}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roomId, setRoomId] = useState('general');
  return (
    <>
      <label>
        Choose the chat room:{' '}
        <select
          value={roomId}
          onChange={e => setRoomId(e.target.value)}
        >
          <option value="general">general</option>
          <option value="travel">travel</option>
          <option value="music">music</option>
        </select>
      </label>
      <hr />
      <ChatRoom roomId={roomId} />
    </>
  );
}